제이군의 일상다반사

모니터 신호없음 해결법 본문

모바일IT, 컴퓨터/모바일 소식

모니터 신호없음 해결법

친절한 J군 2017. 7. 14. 06:15

 

  안녕하세요 제이군 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할려고 전원을 켜다보면 갑자기 모니터에 "신호없음" 이라고 나오면서 HDD를 읽는 동작과 키보드의 Num Lock, Caps Lock 키 등의 불이 켜지고 꺼지는게 반응이 오는데요. 컴퓨터를 강제종료하고 다시 부팅시켜봐도 모니터에 " 신호없음 "  이라고 나오면서 아무 반응이 없다면 우선 몆가지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1. 모니터 점검

  당연하면서도 등한시 되는 문제인데, 등잔 밑이 어둡다고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잘 연결되어 있는지, 연결 되어 있다면 본체와 모니터 둘다 제거한 후 다시 재연결을 해서 부팅을 해보세요.

  혹시나 HDMI 케이블이 아닌 DP 케이블을 사용중이시라면 생각보다 DP케이블이 문제가 많은데, 버전이 1.1에서 현재 1.4까지 출시되어 1.1때 나온것들이 인식이 안되거나 신호없음이 뜰 때가 많은 불량덩어리 입니다. 제조업체 이론상으로는 DP케이블은 버전 구별이 없다고 하지만 구형DP케이블과 신형DP케이블의 구분은 분명히 있습니다. 그러니 DP케이블을 최신껄로 바꿔보는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2. 램 점검

  케이블을 제거했다 다시 연결하고 해도 "신호없음" 이 뜬다면, 본체 내부에 메인보드에 연결된 램을 다시 꼽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램 포함해서 컴퓨터 부품들이 전부 예전에 오락기 게임팩 같이 잭 형식으로 메인보드에 꼽는 형식이다 보니 먼지가 낄 경우나 제대로 꼽히지 않으면 오류가 나기에 , 일단 램을 뽑고 연결부위를 지우개 살살 닦아서 램 을 꼽을때 쎄게 눌러서 딸깍 소리가 나야합니다.

 

 

3. 그래픽카드 오류

  그래픽카드에 HDMI나 DVI 케이블을 꼽고 사용하신다면 그래픽카드를 제거하고 메인보드의 내장그래픽을 이용할 수 있게 메인보드에 연결해주세요. 만일 이렇게 했는데 정상적으로 화면이 출력된다면 그래픽카드의 오류입니다. 무조건 그래픽카드가 고장이 아니라 본체 내부에 먼지가 쌓였다거나 충격에 의해 연결부분이 살짝 흔들렸다하면 인식오류가 일어나니 램과 마찬가지로 뽑아서 잭 부분을 지우개로 한번 닦아주시고 연결해주세요. 이렇게 해도 "신호없음" 이 뜬다면 그래픽카드 제조처에 문의하여 AS및 고장확인을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이런경우 말고 혹시 어쩔때는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는데 어쩔때는 "신호없음" 이 뜨고, 정상적인 부팅이 되었더라도 몆초 혹은 몆분 후 에 갑자기 화면이 멈추는 현상이 있다면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 오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때 그래픽카드 제거 프로그램을 받으셔서 안전모드 로 어떻게든 진입해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완전 삭제 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의 최신버전과 그 바로 전 버전 2개를 받아 최신버전 을 먼저 설치 후 재부팅해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 보고 같은 증상이 발생되면 최신버전 삭제 후 구버전을 설치해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무조건 최신버전이라고 해도 최적화가 안되어있으면 구버전보다 못한 구석이 많거든요

 

 

4. 파워와 메인보드

  위의 방법들로 해결이 안된다면 이제 문제가 조금씩 커집니다. 파워와 메인보드로 옮겨가게 되는데 어느한곳이 고장났는지 바로 알 수 없기에 혹시나 파워나 메인보드 여분이 있다면 하나씩 교체해서 확인해 보거나 구입을 해야한다면 비용이 좀 들기에 주위에서 구해 확인할수 있으면 좋습니다. 혹시나 새로 구입한다면 파워와 메인보드는 서로 상관성이 크고 궁합도 크게 타기에 검색하셔서 호환이 좋은 제품들로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비용절감 측면에서는 파워, 메인보드, 램, cpu만 집 부근의 컴퓨터 수리점에 가서 "부팅테스트"를 해달라고 하면 됩니다. 그러면 수고비 만원 정도 받고 부품체크해가면서 테스트하는데 문제있으면 거기서 바로 이제품 문제가 있는거 같다고 알려주니 그것만 따로 교체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5. CPU

  이런 경우는 희박하고도 희박하지만 CPU가 말썽일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CPU만 업그레이드이 한다고 구입하여 조립할때 CPU핀이 몆개 휘거나 쿨러 조립시 너무 무거운거를 달았던가, 서멀구리스가 핀에 흘러 들어갔거나, 이런경우 CPU가 망가지는데 좀 낮은 확률로 모니터의 "신호없음" 이 뜨기도 합니다. 아마 CPU체크 전에 컴퓨터 수리점에 들렸다면 이미 문제점이 뭔지 해결책을 얻었을 거라고 봅니다.

  혹여나 조립PC가 아닌 브랜드PC라면 1년정도 무상AS가 기간이 있을건데 집 밖으로 나갈 여건이 안된다면 출장비 1만5천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하여 집에서 체크를 해줍니다. 여기서 고장난 부품이 사용자의 과실이 아닐경우 해당 브랜드업체에서 무상으로 수리가 되기에 브랜드PC가 성능에 비해 값이 비싼 경우가 많습니다. AS가 확실한 이유가 있다보니 그런점이 강점이긴 하지만 가성비를 따지자면 조립PC가 대세라 잘 선택하셔서 알아보시면 될듯하네요

Comments